잇따른 부동산규제로 주택 매수세가 감소하는 가운데 경매시장도 투자수요가 눈에 띄게 줄었다. 경매 경쟁률을 보여주는 지표인 낙찰률이 지난 2년 내 최저수준으로 떨어졌다.
8일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 10월 전국 경매 낙찰률(진행건수 대비 낙찰건수)은 전월(39.5%)대비 1.7%포인트 하락한 37.8%을 기록했다.
낙찰률은 지난 7월 42.9%로 올해 최고점을 기록한 뒤 3개월 연속 하락했다. 지난달 낙찰률은 2015년 12월(37.4%) 이후 1년 10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전국 평균 응찰자수는 3.7명으로 전월대비 0.1명 감소했다. 응찰자수 역시 지난 7월(4.2명) 이후 3개월 연속 하락하면서, 지난 2016년 1월(3.7명) 이후 1년 9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처럼 경매 입찰경쟁이 주춤하는 것은 연이은 부동산 대책 여파로 풀이된다. 대출규제가 강화되고 시장 분위기가 관망세로 돌아서자, 경매 투자자들의 투자심리가 위축됐다는 분석이다.
거래량도 줄었다. 지난 10월 전국 법원경매는 8596건이 진행돼 3251건이 낙찰됐다. 이달 추석연휴가 길었던 만큼 경매도 많이 열리지 않아 진행건수는 전월대비 약 500여건, 낙찰건수는 350여건 감소했다.
특히 낙찰건수는 경매 통계를 작성한 지난 2001년 1월 이후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다만 가격은 높은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
전국 평균 낙찰가율은 75.5%로 전월대비 오히려 0.3%포인트 상승했다. 지난 5월 78.7%에 이어 올해 두번째로 높은 수치다.
지방광역시 주거시설 등에서 일부 하락세를 보였지만,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은 수도권 주거시설과 건수가 많은 지방 토지 낙찰가율이 전월대비 상승하면서 전체 평균 수치를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이창동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지난 2년 경매시장은 '고경쟁·고낙찰가' 분위기가 계속돼 투자자들이 공격적으로 입찰해왔다"면서도 "지난달부터 낙찰률 등 경쟁률 지표가 하락세로 돌아서는 등 투자심리가 위축된 분위기다. 지금은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지만 앞으로 낙찰가율도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출처: new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