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가계부채 관리방안' 발표 이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는 더욱 가파른 모습이다.
23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9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2주전 대비 0.29% 상승했다. 신도시(0.08%)와 경기·인천(0.07%)도 상승폭이 커졌다.
김은선 책임연구원은 "단기 가격 상승으로 수요자들은 더 늦기 전에 집을 사야 하지 않을까라는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반면 매도자들은 매물을 거둬들이거나 가격을 올리고 있다"며 "이같은 분위기 속에서 공급과 수요가 어긋나면서 서울 아파트 값은 강세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부동산 시장의 변수도 존재한다. 10월부터 집단대출 소득 확인과 총체적상환능력(DSR) 심사가 적용되고 강남 재건축시장에도 분양가 제동이 걸리게 되면 재건축을 준비하고 있는 주변 단지에 영향이 있을 수 있다.
김 연구원은 "일부 정치권에서는 부동산시장이 투기목적으로 과열됐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이를 규제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이 커진 만큼 가계부채도 잠재적 위험요소가 되고 있고 내년부터 수도권 입주물량이 증가한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서울은 자치구별로 강남(0.54%), 양천(0.43%), 강동(0.40%), 강북(0.40%), 서초(0.38%), 송파(0.37%) 순으로 상승했다.
신도시는 위례(0.18%), 중동(0.16%), 동탄(0.14%), 일산(0.13%), 평촌(0.13%)이 상승했다.
경기·인천은 성남(0.49%), 과천(0.41%), 안양(0.19%), 고양(0.12%), 수원(0.11%), 의왕(0.11%), 광명(0.09%), 부천(0.06%), 인천(0.05%) 순으로 상승했다.
전세시장은 가을이사를 준비하는 수요가 꿈틀대면서 서울 0.12%, 신도시 0.06%, 경기·인천 0.06% 등의 상승률을 보였다.
서울은 자치구별로 동대문(0.41%), 중구(0.40%), 도봉(0.39%), 은평(0.34%), 강북(0.27%), 관악(0.24%), 노원(0.19%) 순으로 전셋값이 올랐다.
신도시는 위례(0.98%), 중동(0.19%), 일산(0.09%), 파주운정(0.09%), 동탄(0.07%) 순으로 전셋값이 상승했다.
경기·인천의 전셋값은 과천(0.58%), 의왕(0.18%), 성남(0.16%), 광명(0.15%), 시흥(0.15%), 수원(0.11%), 오산(0.08%), 고양(0.07%), 김포(0.07%), 인천(0.05%), 안양(0.05%) 순으로 올랐다.
출처 : new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