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하반기 지방을 중심으로 전국 주택시장이 다소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다만 서울, 경기 등 수도권 지역의 경우 상반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은 29일 각 지역본부에서 지난 7월 말부터 8월 중순까지 관할 지역내 업체 및 유관기관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지역경제 동향' 모니터링 결과를 수록한 '지역경제보고서'를 발간했다.
이에 따르면 한은이 전국 94명의 주택시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2016년 하반기주택시장 전망'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하반기 주택시장은 상반기에 비해 다소 둔화될 것으로 조사됐다.
하반기 주택시장이 '둔화'될 것이라는 응답은 43.9%로, '개선'(13.6%)을 크게 웃돌았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은 '상반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75.9%)이라는 응답이 많은 반면, 지방은 '둔화할 것'(67.4%)이란 응답이 높았다. 특히 대경권, 호남권, 충청권에서 주택시장 둔화 전망이 우세했다.
하반기 전국 주택매매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응답한 전문가들은 56.8%로, '하락'(43.2%)보다 많았다.
다만 주택가격 상승을 전망한 전문가들도 대부분 가격 상승률이 1% 미만에 그칠 것으로 봤다. 재건축주택의 경우에는 1~3% 상승할 것이라는 견해가 가장 많았고, 신규분양주택가격도 기존 주택보다 가격 상승폭이 클 것으로 예상됐다. 전월세가격은 '±1% 이내의 등락'을 보일 것이라는 응답이 대부분(71%)을 차지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 제주권 및 강원권에서는 주택가격 상승 전망이 우세했고 대경권, 충청권, 호남권 등에서는 하락 전망이 우세했다. 다만 가격 변동폭은 모든 지역에서 ±1% 안팎으로 크지 않을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주택거래량의 경우 올해 상반기 46만8000건으로 사상 최대 거래량을 기록했던 지난해 상반기(61만1000건)에 비해서는 줄어들었다.
출처 : newsis